Paradigm




SOP를 작성하면서

현재 내 연구분야를 Thomas Kuhn의 'Paradigm' 테마를 이용하여 기술했다.


2006년 학부수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T. Kuhn

당시 번역서를 읽다가 배경지식에 대한 설명없이

순역?(직역수준도 아니고 영어문장 순서대로 번역을 해 놓은..Surprise!)으로

번역해놓은 옮긴이의 불성실함에 감탄하여 책을 집어 던져버렸던 기억이 난다.


그러고 3년 후

혹시나 SOP에 대한 인터뷰가 있을까봐 정독해보기로 결심하고,

영작연습도 할 겸 도서관에서 거의 부스러져가는 원서를 빌려다

번역서를 옆에 놓고 한 문장 한 문장씩 오가며 읽어보았다.


세상에~

이렇게 아름답고 심오한 내용을 어쩜 그렇게 처참하게 번역을 해놨는지원..

김X자씨 살림살이 좀 나아지셨는지..쯧..



아무튼

우리가 요새 흔히 사용하는 Paradigm이란 용어를 탄생시킨

과학사학자 Thomas Samuel Kuhn의 명언들 중 몇 가지를

순전히 내 감동지수를 기준으로

되새김질과 함께 정리해 보았다.









To be accepted as a paradigm, a theory must seem better than its competitors,
but it need not, and in fact never does,
explain all the facts with which it can be confronted.
Illumination> 우월한 Paradigm은 '문제해결력'보다는 '동시대인들의 인식'으로 결정된다.

The solution to each of them had been at least partially anticipated during a period
when there was no crisis in the corresponding science;
and in the absence of crisis those anticipation had been ignored.
Illumination> 위기가 기회를 만든다.
누구나 알고 있었던 문제들을 '이번에는 꼭 해결해보자'라는 합의, 이것이 패러다임 전환의 기회가 된다.

Normal science does and must continually strive to bring theory and fact into closer agreement,
and that activity can easily be seen as testing or as a search for confirmation or falsification.
Instead, its objective is to solve a puzzle for whose very existence the validity of paradigm must be assumed.
Failure to achieve a solution discredits only the scientist and not the theory.
Here, even more than above, the proverb applies: "It's a poor carpenter who blames his tools."
Illumination> Normal science는 Paradigm의 타당성을 반증하는 Puzzle은 풀지 않는다.
Puzzle의 완성(정상과학의 성과물)은 그리 대단한 것이 아니다.
단순한 카툰(정상과학의 범주)일 뿐이다.
퍼즐은 종종 대안이 없는 이상현상(Anomaly)에 달하곤 한다.
여기서,
정상과학은 궁지(Crises)에 몰린 연구자를 탓한다.
행여,
퍼즐의 룰에 대한 개선을 떠올린 연구자는 '이단'으로 취급받는다.

In addition, the manner in which science pedagogy entangles discussion of a theory with remarks on its exemplary applications has helped to reinforce a confirmation-theory drawn predominantly from other sources.
Given the slightest reason for doing so, the man who reads a science text can easily take the applications to be the evidence for the theory, the reason why it ought to be believed.
But science students accept theories on the authority of teacher and text, not because of evidence.
What alternatives have they, or what competence?
The application given in the text are not there as evidence but because learning them is part of learning the paradigm at the base of current practice.
Illumination> 과학자(학생)들은 교사와 교재의 '권위' 때문에 이론들을 군말없이 수용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예들은 절대적 진리를 해석한 과학이론의 타당성을 나타내는 증거들이 아니다.
단지,
그런 것들을 이해하는 것이 현대의 Paradigm에 뒤쳐지지 않는 방법임을 암묵적으로 강요할뿐이다.
넌 오늘 정말 알고싶은 지식을 얻어냈는가?
아니면 알아야만 하는 지식을 주사했는가?

It follows that if an anomaly is to evoke crisis, it must usually more than just an anomaly.
There are always difficulties somewhere in the paradigm-nature fit;
most of them are set right sooner or later, often by process that could not have been foreseen.
The scientist who pause to examine every anomaly he notes will seldom get significant work done.
We therefore have to ask what it is that makes an anomaly seem worth concerted scrutiny,
and to that question there is probably no fully general answer.
Illumination> 이상현상(Anomaly)은 시간문제일 뿐 대체로 곧 바로잡아진다.
따라서,
매 이상현상을 해결해야겠다는 사명감은 비효율을 낳는다.
그런데,
이상현상 중 중대국면(Crises)을 유발시키는 것은 새로운 Paradigm의 시발점이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결론은 없겠지만,
자고로,, 과학자는..
장래가 촉망되는 Anomaly를 골라낼 수 있어야만 '새로운 Paradigm의 주인공'이라는 스포트 라이트를 받을 수 있다.

Sometimes an anomaly will clearly call into question explicit and fundamental generalizations of the paradigm.
Or, an anomaly without apparent fundamental import may evoke crisis if the applications that it inhibits have a particular practical importance.
Or, the development of normal science may transform an anomaly that had previously been only a vexation into a source of crisis.
Presumably there are still other circumstances that can make an anomaly particularly pressing, and ordinarily several of these will combine.
Illumination> '당연시 여겨왔던 것', '작지만 실용적 파장을 갖는 것들'이 주로 Anomaly를 Crises로 승격(?)시킨다.
삶의 '고정관념'과 '생활습관'을 반성할만한 대목이다.

When, these reasons or others like them, an anomaly comes to seem more than just another puzzle of normal science, the transition to crisis and to extraordinary science has begun.
The anomaly itself now comes to be more generally recognized as such by the profession.
More and more attention is devoted to it by more and more of the field's most eminent men.
Illumination> Normal Science -> Anomaly -> Crises -> Extraordinary Science

Through this proliferation of divergent articulations(more and more frequently they will come to be described as ad hoc adjustment), the rules of normal science become increasingly blurred.
Though there still is a paradigm, few practitioners proved to be entirely agreed about what it is.
Even formerly standard solutions of solved problems are called in question.
Illumination> 기존 정상과학의 Standard Solution까지 의심받게 만드는 살벌한 인간의 인식전환이여!
조물주를 만나지 않는 한 세상사 일체유심조라!

All crises begin with the blurring of a paradigm and the consequent loosening of the rules for normal research.
In this respect research during crisis very much resembles research during the pre-paradigm period,
except that in the former the locus of difference is both smaller and more clearly defined.
And all crises close in one of three ways.
Sometimes, normal science ultimately prove able to handle the crisis provoking problem despite the despair of those who have seen it as the end of an existing paradigm.
The problem resists even apparently radical new approaches.
Then scientists may conclude that no solution will be forthcoming in the present state of their field.
The problem is labelled and set aside for a future generation with more developed tools.
Finally, the case that will most concern us here, a crisis may end with the emergence of a new candidate for paradigm and with the ensuing battle over its acceptance.
Illumination> Crises의 Paradigm범주 안팍으로의 수용은 누가 판정하는가?

Almost always the men who achieve these fundamental inventions of a new paradigm have been either very young or very new to the field whose paradigm they change.
For obviously these are the men who, being little committed by prior practice to the traditional rules of normal science, are particularly likely to see that those rules no longer define a playable game and to conceive another set that can replace them.
Illumination> '선무당'은 사람잡지만 '선과학자'는 새로운 Paradigm을 창출시킨다.
재미있는 지적이다.
왜 '경험'과 '유연성'은 공존하지 못할까?
융통성은 특정한 '자질'이 아니라 철학의 미완성을 나타내는 '특질'라는 인식때문이 아닐까?

The proliferation of competing articulations, the willingness to try anything, the expression of explicit discontent, the recourse to philosophy and to debate over fundamentals, all these are symptoms of a transition from normal to extraordinary research.
It is upon their existence more than upon that of revolutions that the notion of normal science depends.
Illumination> 개념의 명료화, 적극적 의지, 명백한 불만의 표현, 기본 개념에 관한 논쟁...
Extraordinary Science가 긍적적 Paradigm을 향하고 있다면 '혁명적 행동'보다 이러한 '증상(?)'을 표출할 필요가 있다.
책 내내 Kuhn의 인간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 대목에서도 마찬가지다.
역사에 남는 것은 Breakthrough겠지만 나만의 삶을 경영해야 하는 인간은 자신이 가치를 부여한 Process에서만 행복을 느낄 수 있다.

Scientific revolutions need seem revolutionary only to those whose paradigms are affected by them.
Illumination> 지난 주 연애상담 중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없어.. 어차피 결국 한 명 하고만 산다."고 하셨던
선배님의 말씀이 불현듯 떠오른다.
그러고 보면,
공인들은 참 딱하다.

In the evolution of science new knowledge would replace ignorance rather than
replace knowledge of another and incompatible sort.
Illumination>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결국 '몰랐던 것' 아니었을까?

In so far as he is engaged in normal science, the research worker is a solver of puzzles, not a tester of paradigms.
Though he may, during the search for a particular puzzle's solution, try out a number of alternative approaches,
rejecting those that fail to yield the desired result, he is not testing the paradigm when he does so.
Instead he is like the chess player who, with a problem stated and the board physically or mentally before him, tries out various alternative moves in the search for a solution.
These trial attempts, whether by the chess player or by the scientist, are trials only of themselves, not of the rules of the game.
They are possible only so long as the paradigm itself is taken for granted.
Therefore, paradigm-testing occurs only after persistent failure to solve a noteworthy puzzle has given rise to crisis.
And even then it occurs only after the sense of crisis has evoked an alternate candidate for paradigm.
Illumination> '과학의 Paradigm'에 대한 언급이지만 '인식의 Paradigm'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명구절이다.

정상과학의 굴레 안에서 그 틀에 대한 고민 없이, 무작정 주어진 퍼즐만을 푸는 과학자는
마치
자기인생의 목적에 대한 고민 없이, 타인의 눈을 의식한 목표만을 좇는 젊은이와 같다.

풀어야 할 가치가 있는 퍼즐이 자꾸만 풀리지 않을 때, 비로소 퍼즐의 룰 그 자체를 검증하기 시작하는 과학자는
마치
근시안적 목표에만 습관처럼 매달려오다가 난 여태껏 무엇을 하며 살아온 걸까? 라고 뒤늦게 인생의 가치를 고민하게 된 노인과 같다.

인생의 순간순간에 누군가가 '당신 뭐하고 있느냐?'고 묻는다면 당시의 행동과 내 인생의 목적을 연결하여 이야기할 수 있겠는가?

The difficulties of conversion have often been noted by scientists themselves.
Darwin, in a particularly perceptive passage at the end of his Origin of Species, wrote:
"Although I can fully convinced of the truth of the views given in this volume..., I by no means expect to convince experienced naturalists whose minds are stocked with a multitude of facts all viewed, during a long course of years, from a point of view directly opposite to mine. ... But  I look with confidence to the future, to young and rising naturalist, who will be able to view both sides of the question with impartiality."
"A new scientific truth does not triumph by convincing its opponents and making them see the light
but rather because its opponents eventually die, and a new generation grows up that is familiar with it."
Illumination> 독립운동가 저리가라 할 정도의 섬뜩한 문장이다.
그들의 말대로 고정관념이 생기기 전의 팔팔한 학자들에 의해 그들의 이론은 정상과학의 반열에 올라섰다.
궁국의 진리는 항상 동시대의 기득권과 마찰이 있기 마련이고, 그 가치는 역사에 의해서만 인정받는다는 현실이 슬프다 못해 어지럽다.

Probably the single most prevalent claim advanced by the proponents of a new paradigm is that
they can solve the problems that have led the old one to a crisis.
Claims of this sort are particularly likely to succeed
if the new paradigm displays a quantitative precision strikingly better than its older competitor.
The claim to have solved the crisis-provoking problem is, however, rarely sufficient by itself.
Particularly persuasive arguments can be developed
if the new paradigm permits the prediction of phenomena that had been entirely unsuspected while the old one prevailed.
Illumination> 새로운 Paradigm은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적용시켰을 때 현재의 문제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즉, Paradigm은 하나의 '솔루션 페키지'가 아니라
여러 사건들의 발생을 고려할 수 있는 '인식의 시스템'이다.

There is also another sort of consideration that can lead scientist to reject an old paradigm in favor of a new.
These are the arguments, rarely made entirely explicit, that appeal to the individual's sense of the appropriate or the aesthetic-the new theory is said to be "neater," "more suitable," or "simpler" than the old.
Probably such arguments are less effective in the sciences than in mathematics.
The early version of most new paradigms are crude.
By the time their full aesthetic appeal can be developed, most of the community has been persuaded by other means.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aesthetic considerations can sometimes be decisive.
Though they often attract only a few scientists to a new theory, it is upon those few that its ultimate triumph may depend.
Illumination> '겉보기'의 중요성은 과학의 Paradigm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단, 인간의 심미적 가치는 개인의 사정이지만
과학 Paradigm의 그것은 이를 통해 새로운 세상을 맞이해야 하는 인류의 몫이다.

Paradigm debates are not really about rel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stead, the issue is which paradigm should in the future guide research on problems many of which neither competitor can yet claim to resolve completely.
A decision between alternate ways of practicing science is called for, and in the circumstances that decision must be based less on past achievement than on future promise.
The man who embraces a new paradigm at an early stage must often do so in defiance of the evidence provided by problem-solving.
He must, that is, have faith that the new paradigm will succeed with the many large problems that confront it,
knowing only that the older paradigm has failed with a few.
A decision of that kind can only be made on faith.
Illumination> 다시 한 번, 새로운 Paradigm의 자격조건은
'정상과학을 위기에 몰리게 만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느냐?'가 아니라
'이러한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만한 새로운 접근방법인가?'이다.
물론, 당장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 정도 수준의 문제였다면 정상과학이 위기까지 몰리지 않았을테다.

새로운 Paradigm으로의 전환가능성을 눈치챈 사람들은 그 결심에 대한 물증을 제시할 수 없다.
따라서, 누군가에게 Scholar Migration을 쉽게 권유할 수도 없을 것이다.

결국,
공유된 소수의 의식만으로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퍼즐은 곧 풀릴 것이라며 인내심을 발휘했던 학자들은 혼란에 빠진다.
인간은 어느정도까지는 곰처럼 밀고나가고,
어느정도에선 삶의 변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어느정도가 과연 어디냐는 것이다.

쿤은 대답한다.

'신념'이라고..
개인의 역사에서, 아니 어쩌면 인류의 역사에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 역시 '신념'이다.

인간은 생각대로 행동하기때문에
'개개인의 신념'은 '미래의 행동'이 된다.
이러한 행동들은 '사회적 의식'을 낳고,
이 의식은 '공동체의 행동양식'을 유도한다.
결국, 공동체의 행동은
현재시점에서 우리가 그렇게 궁금해 하는
'미래'가 된다.

몇 안되는 지식쪼가리 덕분에 '예측'이란 개념,,
정말 너무나도 어렵다.
단순한 현상의 예측이 아니라 인간활동의 결과물을 예측하는 경우,
예측이라는 행위 자체가 미래의 모습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므로
혹자는 이러한 간섭현상을 예측의 목적이라고도 말한다.
("예측의 목적은 그 예측이 벗어나게 만드는 것이다." from 아사노 where 전공서적 어디선가)
그렇다면 잘 한 예측은 잘 맞춘 예측이 아니라..
'신념'이 무리없이 활용할 수 있는 탄탄한 디딤돌을 만드는 것이 될진대..
예측이 하나의 행위이고 학문분야라면 그 타당성을 측정할 척도는 무엇이 될 것인가?
충분히 고민할 가치가 있는 녀석이다.

Still more men, convinced of the new view's fruitfulness,
will adopt the new mode of practicing normal science, until at last only a few elderly hold-outs remain.
And even they, we cannot say, are wrong.
Though the historian can always find men-Priestley, for instance, who were unreasonable to resist for as long as they did,
he will not find a point at which resistance becomes illogical or unscientific.
At most he may wish to say that the men who continues to resist after his whole profession
has been converted has ipso facto ceased to be a scientist.
Illumination> elderly hold-outs에서 그 양반이 불현듯 떠올랐다.
효과적임이 검증된 새로운 Paradigm으로 모든 학자들이 개종된 후에도
계속 기존의 Paradigm을 고집하는 그는 더이상 연구자라고 할 수 없다.
쿤의 말이 맞다.

They will cease to be a source of concern not when a definition is found, but when the groups that new doubt their own status achieve consensus about their past and present accomplishments.
It may, for example, be significant that economists argue less about whether their field  is a science
than do practitioners of some other fields of social science.
Is that because economists know what science is?
Or is it rather economics about which they agree?
Illumination> 때론 '정의', '분류' 보다는 그 '효과'가 존재를 증명하곤 한다.
쿤은 '규범적 관념'보다 '실제적 효과'에 무게를 두는 것을 책의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For normal scientific work, for puzzle-solving within the tradition that the text book define,
the scientist is almost perfectly equipped.
Furthermore, he is well equipped for another task as well-the generation through normal science of significant crises.
When they arise, the scientist is not, of course, equally well prepared.
Even though prolonged crises are probably reflected in less rigid educational practice,
scientific training is not well designed to produce the man who will easily discover a fresh approach.
But so long as somebody appears with a new candidate for paradigm-usually a young man or one new to the field-the loss due to rigidity accrues only to the individual.
Given a generation in which to effect the change, individual rigidity is compatible with a community that can switch from paradigm to paradigm when the occasion demands.
Particularly, it is compatible when that very rigidity provides the community with a sensitive indicator that something has gone wrong.
Illumination> 창의적 돌파구를 발견해낼 수 없는 교육시스템의 경직성은 동서양, 과거현재를 막론하고 문제이다.
어쩌면 이정도 되면 교육이라는 분야 또한 위기에 봉착한 것이고, 새로운 Paradigm을 요구하고 있는 것일수도..
젊고, 교육분야의 초짜인 내가 판 좀 바꿔 볼까?

We may, to be more precise, have to relinquish the notion, explicit or implicit,
that changes of paradigm carry scientists and those who learn from them closer and closer to the truth.
Illumination> 이 책을 통틀어 가장 큰 충격을 받게 된 부분!
다음 문단에선 한 술 더 떠..

Need there be any such goal?
Can we not account for both science's existence and its success in terms of evolution from the community's state of knowledge at any given time?
Does it really help to imagine that there is some one full, objective, true account of nature and that the proper measure of scientific achievement is the extent to which it brings us closer to the ultimate goal?
If we can learn to substitute 'evolution-from-what-we-do-know' for 'evolution-toward-what-we-wish-to-know',
a number of vexing problems may vanish in the process.
Somewhere in this maze, for example, must lie the problem of induction.
Illumination> 흔히들 '과학활동'을 '오묘한 자연의 법칙을 이해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유행하고 있는 경영키워드인 '통섭'의 근본이상 또한 '자연에로의 수렴'이다.
이러한 관념에 쿤은 단호하게 반기를 들고 있다.
과학행위를 '알고싶은 것을 향하여'가 아닌 '아는 것으로 부터'의 과정으로 보잔다.
또다시 연역(Deduction)보다는 귀납(Induction)에 무게를 둔다.

생명체의 '진화'를 보면,
진화에는 특정한 목적이 존재하지 않는다.
궁극의 몸뚱이는 팔8개 머리3개 뭐 이런 게 정해져 있지 않다는 말이다.
단지, 현재 닥친 외부환경에 맞추어 어제보다 강인한 내일을 살기 위해 내부조건을 변신(?)시켜갈 뿐이다.
어쩌면 하필 야릇한 외부환경 덕에 현재 우리는 훌륭한 기능들을 퇴화시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여기서 '훌륭한 기능들'이란 이상적 목적을 가정해야 하므로 넌센스이긴 하다... 어쨋건 날개가 없어지고있는건 개인적으로 아쉬움!)
이제껏 '잘 살기 위해' 혹은 '살아남기 위해' 갖추어 왔던 형태가 기반이 되고,
오늘 닥친 외부환경이 자극이 되어,
꿈틀되는 것이 '진화'이다.

'과학'도 마찬가지로
절대적 자연의 원리를 인간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지금껏 쌓아왔던 지식을 바탕으로,
최근 이슈가 되고있는 문제들을 풀어내기 위해,
('풀리지 않는' 혹은 '있었으면 좋겠을' 현상들)
새로운 접근방법을 궁리하는 것이다.

수능이 끝나고 다음날 신문에 정답지가 실리는 것처럼
만약, 인류가 종말하고 절대자가 자연원리라는 정답지를 보여준다면
21세기의 우리들은 '쓸데없는 궁금증(외부환경)이 유행이 되어 시간을 낭비한 세대'일 수도 있다.
또 어쩌면
'당시의 관측 기술만을 믿고 태양 중심으로 지구가 돈다고 믿었던 어리석은 세대'일 수도 있다.
우린 현재 우리가 이뤄낸 기술들을 신뢰했을 뿐이고,
여기서 나온 객관적 증거들을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도록 지동설 Paradigm을 받아들인 것인데도 말이다.

이쯤 와보니
쿤의 말이 일리가 있다.
절대자가 과학활동을 감시한다는 위협이 없다면
그놈의 진실(이쯤되면 진리)에 대해 우리의 답안이 맞고 틀리고가 중요하지 않다.
천동설 Paradigm을 신봉했던 세대를 현재 우리가 비난할 수 있는가?
상대성 이론이 뉴턴을 바보로 만들 수 있는가?

중요한 것은
당시의 지식을 가지고
새로운 현상들을 포괄하여 해석할 수 있는
'창의적 Paradigm을 누가 어떻게 제안했냐?'가 아닐까?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이러한 비-목적지향, 방향성 없는 과학활동에서
'발전', '진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충분히 무리가 있을 수 있겠다.
다행히 책 다음 구절에도 이러한 언급이 있다.
내가 잘 이해하고 있긴 한가보다.
정말 다행
...

아니지..
쿤의 말을 기준으로 내 생각을 평가할 필요는 없다..
난 내 좁은 지식으로 쿤의 언급을 조립하려고 많은 고민을 했다..
그 과정에서 재밌었다.
족하다.

The process described as the resolution of revolution is the selection
by conflict within the scientific community of the fittest way to practice future science.
The net result of a sequence of such revolutionary selections, separated by periods of normal research, is the wonderfully adapted set of instruments we call modern scientific knowledge.
Successive stages in that developmental process are marked by an increase in articulation and specialization.
And the evolution process may have occurred, as we now suppose biological evolution did, without benefit of set goal,
a permanent fixed scientific truth, of which each stage i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knowledge is a better exemplar.
Illumination> 다시 한 번
과학의 목적은 '절대적 원리에 대한 기여'가 아니라
진보의 각 단계에서 설정되는 '문제해결(해석)에의 의지'이다.










P.S 1> 2010년을 정말 멋진 책으로 열 수 있어서 너무나 행복하다.



P.S 2> 무심코 고른 배경음악이 사진과 잘 어울리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