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으로 가는 길




여지껏 진심으로 알고자 해서 덤벼들었던 것들에서 공통적으로 느껴진 바가 있다.


무언가를 배울 때

'흥미', '호기심'이라는 밑천이 떨어져 갈 즈음에서야

원했던 '앎의 완성'이 희미하게 보이지만,

그 바로 앞에는 뛰어넘어야 할 '마지막 장벽'이 항상 나타난다는 것.

게임으로 치자면 끝판왕의 존재라고나 할까나.



더 중요한 것은

그 마지막 장벽이 결국 '앎의 에센스'이지만

앞서 주변지식을 얻어왔던 과정과는 달리

정형화된 학습양식이 없다는 점.



어쩌면

그 학습양식을 창의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모든 앎에 있어 정형화된 노하우가 아닌가 생각된다.





문제는

창의적으로 마지막 장벽을 넘어 결국 앎의 고지에 오른 사람들은 별 말이 없는 반면,

장벽 앞에서 머리속으로만 고지를 다녀온 사람들은 자신들의 그러한 발상에 대해 참 말들이 많다.

결국

이런 시끄러운 양반들 덕에 많은 사람들이 그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되고,

모두 함께 같은 장벽을 만나지만,

속시원한 답이 있을리 없다는 점.

종종

다수의 힘으로 그 주제의 속성자체를 애매하고 왜곡되게 정의해버린다는 점.



반대편의 문제는

마지막 장벽을 넘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앎의 희소성을 깨닫고 보수적으로 변해간다는 점.



이 시스템의 포괄적인 문제는

앎이라는 것이

많은 사람들을 통해 거래되어야만 삶이 유지되는

세상물정 모르는 지식인들의

유일한 재산이라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