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dom from the Known




비록 저자는 내 이런 모습을 결코 원하지 않지만

내 남은 인생에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된 인물을 알게 되었다.


Jiddu Krishnamurti


이 분을 처음 알게 된 건 

'시대정신(Zeitgeist)' 이라는 다큐멘터리였다.

다소 자극적인 단어들로 구성된

또박또박한 영어연설..


바쁘게 하루하루를 보내다가 종종 가슴이 허해질 때

그의 주장은 꽤 자주 머릿속에서 맴돌았고,

결국 도서관에서 그의 책을 찾아보게 되었다.



목차와 몇 챕터만을 훑어본 후

예사롭지 않은 반가운 기운을 느껴

바로 Powell 서점에 가서

있는 책들을 모두 구입했고,

eBay에서 '민트급!' 3권을 7불에 낙찰 받는

쾌거까지 동반해 통해 요즘 이 분의 철학에 푹 빠져서 살고 있다.



이 책, 이 분의 모든 주제에 대한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다.


Have you ever thought about this?

If you disagree/ain't interested in, carry on.

Otherwise, we shall be able to communicate.

So let us consider it together.
(We are taking this journey together; you are not waiting for me to tell you the causes of your dependence. If we enquire together we will both discover and therefore that discovery will be your own, and hence, being yours, it will give you vitality.)

It seems to me that...

Attend with all your heart and mind to find out your answer.
Don't just sit back and say, 'Well, tell us all about it.'
                    ↓ (가끔은 대놓고)
It doesn't mean a thing to me to convince you of anything.
It is your life, not my life.


요약하자면

주제를 던진 후, 우리의 관심을 묻고, 본인의 생각을 조심스레 제시한 후, 우리 스스로 생각하도록 요구한다.

결코 본인의 철학을 듣는 이에게 주입하려거나 강요하지 않는다.

엄격하게 지켜지는 이 원칙은 그의 전 책을 통틀어 지겨우리만치 강조된다.


반작용에 나약한 인간의 심리 때문일까

이런 접근방법과 그의 철학은 큰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내게 쥐어졌던 그의 첫 책 Freedom from the Known을 '나만을 위해' 정리해본다.



I. Men's search
 

We are second-hand people. We have lived on what we have been told, either guided by our inclinations, our tendencies, or compelled to accept by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We are the result of all kinds of influences and there is nothing new in us, nothing that we have discovered for ourselves; nothing original, pristine, clear.
: 듣고 싶은 것, 들어야만 했던 것들이 축적되어 오늘 우리의 자아를 형성했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이 지금 우리의 판단에 강력한 근거가 된다.
슬프게도 바로 여기서 인간은 자유를 박탈당한다.
경험으로 배우는 것, 가장 확실하면서도 생각의 폭을 좁히는 양날의 검이다.



It is a most extraordinary thing that although most of us are opposed to political tyranny and dictatorship, we inwardly accept the authority, the tyranny, of another to twist our minds and our way of life.
: 생각의 자유라는 관념보다는 눈에 보이는 탄압, 민주라는 이미지가 인류의 역사를 통해 확연히 나타나있기 때문이 아닐까?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re is a God or truth or reality, or whatever you like to call it, can never be answered by books, by priests, philosophers or saviours. Nobody and nothing can answer the question but you yourself and that is why you just know yourself. To understand yourself is the beginning of wisdom.
: 진리는 변하기 마련이다.
변하는 것은 대상을 안다라기보다는 그 변화하는 속성을 이해해야 한다.
결국 변화를 좇는 것이 진리탐구인 셈이다.
이 행위는 개인의 해석에 종속되며, 다시 이것이 진리가 정적이지 않은 이유가 된다.




II. Learning about ourselves

Most of us walk through life inattentively, reacting unthinking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we have been brought up, and such reactions create only further bondage, further conditioning, but the moment you give your total attention to your conditioning you will see that you are free from the past completely, that it falls away from you naturally.
: 과거를 통해 형성된 오늘의 나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치지말자.
진정한 자유는 그 조건화된(conditioned) 내 모습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그의 다른 책에서 다뤄지는 내용이지만,, 
문제에 대한 인식이 해결책이며, 해결책을 마주했다는 관념이 문제의 시작이 된다.
문제로 부터 벗어나는 방법은 항상 문제를 상기시킬 뿐이다.



III. Awareness

...And that state of mind can be understood only by yourself, by watching it and never trying to shape it, never taking sides, never opposing, never agreeing, never justifying, never condemning, never judging which means watching it without any choice. And out of this choiceless awareness perhaps the door will open and you will know what that dimension is in which there is no conflict and no time.
: '찬성, 반대, 정당화, 비난, 판단'없는 choice-less awareness만이 대상을 정확히 알 수 있는 길이다.
대상을 알고 난 후, 나의 입장을 세워야 한다는 생각은 나만의 편견일까?
거대한 세상과 순수한 진리는 늘 conflict을 보인다.
아~ 이러지 말라는 문장을 보면서까지 이러고 있다.. 정말 모르겠다.

 
 

IV. Pleasure vs Joy
 
Pleasure is the structure of society, from childhood until death we are secretly, cunningly or obviously pursuing pleasure.
So whatever our form of pleasure is, I think we should be very clear about it because it is going to guide and shape our lives.
... 
  You may ask why then should life not be guided by pleasure?
For the very simple reason that pleasure must bring pain, frustration, sorrow and fear, and, out of fear, violence.
If you want to live that way, live that way.
Most of the world does, anyway, but if you want to be free from sorrow you must understand the whole structure of pleasure.
To understand pleasure is not to deny it. We are not condemning it or saying it is right or wrong, but if we pursue it, let us do so with our eyes open, knowing that a mind that is all the time seeking pleasure must inevitably find its shadow, pain.
They cannot be separated, although we run after pleasure and try to avoid pain.
: '즐거움', '재미', '흥미',,,
분명 인간의 사고를 지배하는 녀석들이다.
그렇다면 과연 모든 의사결정에 이 자극을 최우선 기준으로 놓아야 할 것인가?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 주제였고, 아직도 날 혼란스럽게 한다.

크리슈나무르티는 단호하게 No!라고 주장한다.

서두에 언급했듯, 그는 자신이 특정 주제에 대해 고민한 결과를 우리에게 제시 할 뿐
결코 우리를 설득하려 수고하지 않는다.
그의 화법에서 Must나 Should가 자주 등장하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 아닌가 보인다.
하지만
종종 확고한 신념을 내비치는 경우, 이 두 단어를 예외적으로 사용한다.

이 주제에 대해서도 그는
Life가 Pleasure에 의해 좌지우지되어서는 안 된다(should)고 주장하며,
Pleasure는 틀림없이(must) 고통, 좌절, 슬픔, 두려움, 폭력을 낳는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Pleasure의 구조를 이해해야만 한다고 강조
(must)한다.
물론 Pleasure를 거부하거나, 옳고 그름을 따지자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인다. 

'과거의 경험'과 '미래의 이상'에 얽매이지 않고
'지금' 가지고 있는 순수한 느낌에 진리와 자유가 있다는 전체적 맥락에서 벗어나
"너의 그 자연스럽지만 위험한 본능을 억제하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Pleasure comes into being through four stages-perception, sensation, contact and desire.
...
It is the same with sexual desire or any other form of desire. There is nothing wrong with desire. To react is perfectly normal.
If you stick a pin me I shall react unless I am paralysed.
But then thought steps in and chews over the delight and turns it into pleasure.
Thought wants to repeat the experience, and the more you repeat, the more mechanical it becomes; the more you think about it, the more strength thought gives to pleasure. So thought creates and sustains pleasure through desire, and gives it continuity, and therefore the natural reaction of desire to any beautiful thing is perverted by thought.
Thought turns it into a memory and memory is then nourished by thinking about it over and over again.
Of course, memory has a place at a certain level. In everyday life we could not function at all without it.
In its own field it must be efficient but there is a state of mind where it has very little place.
A mind which is not crippled by memory has real freedom.
: 그것은 바로 즐거움을 낳는 4번째 단계인 Desire 즉, '그것을 반복하고자 하는 욕구'에 있다고 그는 주장한다.
 다가온 즐거움에 반응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일이지만, 그 속성상 즐거움은 그 주체를 망각시킬 정도로 기억, 생각에 강하게 남게된다.
인간은 기억을 통해서, 아니 어쩌면 기억에만 의지하여 발전해왔고,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기억에 의존해서 선입견을 갖는 것이 진리와 자유를 박탈 할 뿐, 경험이 기억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문제는 기억 속에 남아있는 즐거움을 반복하려는 욕구가 일어나고,
의미 있는 일, 중요한 일의 결과로서가 아닌 즐거움 그 자체 만에 중독되면서 인간을 기계적으로 만들어 버리게 된다.
결국
아름다운 것, 아름다운 일을 하려고 하는 생각마저 단순화 된 즐거움이 왜곡시키고 만다는 것이다.

우선시 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매우 위험하긴 하다만
적어도 의미 있고(meaningful), 중요한(significant) 일이 즐거움(pleasure)만을 향한 욕망(desire)에 가려지는 것만은 경계해야 한다는 메시지다.

달리해석해보면
 의미있고, 중요한 일을 하겠다는 다짐 역시 
그 과정을 통해 결국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는 자기와의 타협 또는 기대에 근거할 것이다.

즐겁지만은 않았던 일에 대해서도
의미를 찾겠다는 다짐을 한 후라면,
적어도 그 다짐을 실천하겠다는 것이 내 스스로의 즐거움 추구가 된다.

 그렇고보면 차원이 다른 개념들을 단순화시켜 대결구도로 자주 혼동해왔던 것 같다.



So if you understand that where there is a search for pleasure there must be pain, live that way if you want to, but don't just slip into it. If you want to end pleasure, though, which is to end pain, you must be totally attentive to the whole structure of pleasure-not cut it out as monks and sannyasis do, never looking at a woman because they think it is a sin and thereby destroying the vitality of their understanding-but seeing the whol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pleasure. Then you will have tremendous joy in life. You cannot think about joy. Joy is an immediate thing and by thinking about it, you turn it into pleasure. Living in the present is the instant perception of beauty and the great delight in it without seeking pleasure from it.
: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이상적인
(점점 쓰기 어려워지는 표현이지만..) 즐거움의 추구를 그는 Joy라는 단어로 따로 정의한다.

Joy는
과거의 기억에서 추출된(?) pleasure만을 향한 desire가 아닌
'일시적'이고 '즉각적'이며 '살아있는' '현재의' 인식에 대한 유희를 뜻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pleasure의 의미와 중요성마저 바로 볼 수 있는 자유로운 의식 상태를 뜻하기도 한다.



V. Self-concern, Fear
 
 Some of us would say that it is wrong to be primarily interested in ourselves. But what is wrong about it except that we seldom decently, honestly, admit it? If we do, we are rather ashamed of it. So there it is-one is fundamentally interested in oneself, and for various ideological or traditional reasons one thinks it is wrong. But what one thinks is irrelevant. Why introduce the factor of its being wrong? That is an idea, a concept. What is a fact is that one is fundamentally and lastingly interested in oneself.
You may say that it is more satisfactory to help another than to think about yourself. What is the difference? It is still self-concern. If it gives you greater satisfaction to help others, you are concerned about what will give you greater satisfaction.
...
Why not say, 'What I really want is satisfaction, whether in sex, or in helping others, or in becoming a great saint, scientist or politician'? 
...
What we are really seeking is a satisfaction in which there is no dissatisfaction at all.
Most of us crave the satisfaction of having a position in society because we are afraid of being nobody. Society is so constructed that a citizen who has a position of respect is treated with great courtesy, whereas a man who has no position is kicked around. Everyone in the world wants a position, whether in society, in the family or to sit on the right hand of God, and this position must be recognised by others, otherwise it is no position at all.
: 남을 위한 삶 역시 자신을 위한 삶의 한가지 방법이다.
 그렇지 않다면 세상은 더 잔인하고 무서울 것이다.
최근에 고민하던 주제여서 그런지 너무나도 반가운 주장이다.
 정말 맞다!




Fear is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in life. A mind that is caught in fear lives in confusion, in conflict, and therefore must be violent, distorted and aggressive. It dare not move away from its own patterns of thinking, and this breeds hypocrisy.
Until we are free from fear, climb the highest mountain, invent every kind of God, we will always remain in darkness.
...
The first thing to ask ourselves then is what is fear and how does it arise?
What do we mean by the word fear itself? I am asking myself what is fear not what I am afraid of.
I lead a certain kind of life; I think in a certain pattern; I have certain beliefs and dogmas and I don't want those patterns of existence to be disturbed because I have my roots in them. I don't want them to be disturbed because the disturbance produces a state of unknowing and I dislike that. If I am torn away from everything I know and believe, I want to be reasonably certain of the state of things to which I am going. So the brain cells have created a pattern and those brain cells refuse to create another pattern which may be uncertain. The movement from certainty to uncertainty is what I call fear.
: 두려움이란 무엇인가?
과거의 기억으로 이루어진 나는 늘 경험의 확실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익숙한 일들이 반복되기를 바라고, 
적어도 간접적으로 체득한 탈출구를 통해 미래의 문제들이 해결되기를 기원한다.

결국
미지의 일에 대한 경계심,
다시 말해
'확실성에서 불확실성으로의 움직임'
이것이 바로 두려움이다.



You can watch only when the mind is very quiet, just as you can listen to what someone is saying only when your mind is not chattering with itself, carrying on a dialogue with itself about its own problems and anxieties. Can you in the same way look at your fear without trying to resolve it, without bringing in its opposite, courage-actually look at it and not try to escape from it? When you say, 'I must control it, I must get rid of it, I must understand it,' you are trying to escape from it.
You can observe a cloud or a tree or the movement of a river with a fairly quiet mind because they are not very important to you, but to watch yourself is far more difficult because there the demands are so practical, the reactions so quick. So when you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fear or despair, loneliness or jealousy, or any other ugly state of mind, can you look at it so completely that your mind is quiet enough to see it?
Can the mind perceive fear and not the different forms of fear-perceive total fear, not what you are afraid of?
If you look merely at the details of fear or try to deal with your fears one by one, you will never come to the central issue which is to learn to live with fear.
: 언제부턴가 '여행, 휴가'를 '일상으로부터의 탈출,' '내 문제와의 단절'로 생각하게 돼버린 것 같다.
거창한 여행까지는 아니더라도
'바람좀 쐬고 온다'라는 말로 휴식을 나타내기도 한다. 
나와, 더 정확히 내 문제와, 관련이 없는 것들과는 더 쉽게 평안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자연을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

안그래도 길지않은 이 세상을
과연 왜 벗어나야만 평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우리스스로 디자인했을까? 
그래야만 했다면, 우리 자신은 왜 그렇게 느끼는 것일까?
그걸 잘 극복한 사람들이 인정받는 이 구조는 올바른 것인가?

그의 말을 빌리면

문제에 대해
해결(resolve)하려고 하는 것,
반대상태로(opposite) 돌려놓으려 하는 것,
(두려움에 맞서) 용기(courage)를 내보는 것,
다뤄보려고(control) 하는 것,
제거하려고(get rid of) 하는 것,
이해하려고(understand) 하는 것,
결론지우려(conclude)하는 것
이 모두
그것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또 다른 문제(problem, fear)를 야기할 뿐이다.

자연을 대하듯;
꽃이 피는 모습을 보듯,
파도가 치는 모습을 보듯,
나의 문제를 고요한(quiet) 상태에서 반작용(deal with) 없이 바라보게 된다면
그것은 극복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내 삶과 함께해야 할 자연스러운 모습임을
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자연과학자들 빼고..)

  문제가 있으면 풀어야 한다는 관념자체를
고민할 수 있게 해준 고마운 주장이다.

 


The observer is the censor who does not want fear; the observer is the totality of all his experiences about fear. So the observer is separate from that thing he calls fear; there is space between them; he is forever trying to overcome it or escape from it and hence this constant battle between himself and fear-this battle which is such a waste of energy.
 The observer is fear and when that is realised there is no longer any dissipation of energy in the effort to get rid of fear, and the time-space interval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observed disappears. When you see that you are a part of fear, not separate from it-that you are fear-then you cannot do anything about it; then fear comes totally to an end.
: 두렵다면 그 두려움의 일부가 되어라.
(이미 두려운 것이 너 자신이지만,,)
 



VI. Violence
 
 When you call yourself an Indian or a Muslim or a Christian or a European, or anything else, you are being violent.
Do you see why it is violent?
Because you are separating yourself from the rest of mankind. When you separate yourself by belief, by nationality, by tradition, it breeds violence. So a man who is seeking to understand violence does not belong to any country, to any religion, to any political party or partial system; he is concerned with the total understanding of mankind.
: 선택했거나, 선택당했거나
인간은 일생동안 다양한 집단에 속하게 되고,
이러한 소속감은 '나와 같음'을 통해 안정감을 주지만
때론
'우리와 다름'을 통해 폭력을 낳기도 한다.

다름에서 오는 폭력에 굴복해
거대집단이 만들어지고,
결국 모두가 하나의 집단에 속하게 된다면
(하나의 집단만 남는다면)
폭력은 사라지게될까?

인간이 거기서부터 시작했듯
그렇지는 않아보인다.

나와 다르면 같아지길 바라고,
막상 같아지면 남들과 달라지고 싶고,
,,,

진자의 움직임만을 기억하자.




You have now read a series of statements but have you really understood?
Your conditioned mind, your way of life, the whole structure of the society in which you live, prevent you from looking at a fact and being entirely free from it immediately. You say, 'I will think about it; I will consider whether it is possible to be free from violence or not. I will try to be free.' That is one of the most dreadful statements you can make, 'I will try.' There is no trying, no doing your best. Either you do it or you don't do it.
: 이해하고 있는가?
이 글을 왜 쓰고있는가? 
그렇다고 생각을 짜내고 있지는 않은가? 
지금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가?
 어제 했던 생각, 내일 해야 할 생각에 대한 걱정에서 벗어나
현재만의 생각을 정의하고, 떠올려 볼 수 있겠는가? 


 
VII. 'What should be' vs 'What is'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is based on the image-forming, defensive mechanism.
In all our relationships each one of us builds an image about the other and these two images have relationship, not the human beings themselves. ... and we are always strengthening these images by adding more and more to them. ... Relationship based on these images can obviously never bring about peace in the relationship because the images are fictitious and one cannot live in an abstraction. And yet that is what we are all doing : living in ideas, in theories, in symbols, in images which we have created about ourselves and others and which are not realities at all. All our relationships, whether they be with property, ideas or people, are based essentially on this image-forming, and hence there is always conflict.
: 내 안에서의 갈등과 마찬가지로
타인과의 관계 역시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전에 ~했던 사람,
앞으로 ~할 사람, 
그러니 지금 ~하게 대해야 할 것 같은 사람. 

지금 현재 그 사람의 모습에는 별로들 관심이 없다.
동적인 시간의 흐름을 과거-현재-미래라는 삼분법으로 구분한 이유는 무엇일까?
현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과거-미래라는 이분법으로도 충분 할 텐데,,
그러지 말라고 그랬겠지? 



 You may think there is no waste of energy if you imitate, if you accept authority, if you depend on the priest, the ritual, the dogma, the party or on some ideology, but the following and acceptance of an ideology, whether it is good or bad, whether it is holy or unholy, is a fragmentary activity and therefore a cause of conflict, and conflict will inevitably arise so long as there is a division between 'what should be' and 'what is,' and any conflict is a dissipation of energy.
: 깊은 생각을 즐기지 못해보이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말한다.
그냥 쉽게 생각하라고,,
그냥 믿어서 나쁠 것 없다고,,

충분히 일리가 있다.
어쩌면 고민 끝에 나오게 될 최종적 결론일지도 모른다.

 하나의 생각에 사로잡히지 말라는 생각역시 하나의 생각이다.
적어도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 진리가 아니라면,
모든 생각에 유연한 자세야말로 진리에 가깝지 않을까?

그 어떤 생각에도 쉽게 젖어들고(일리를 발견하고)
하나의 생각에 빠져 다른 생각을 배척하지 않는 것
그렇게 하면서도 그 자세를 관념화 하지 않는 것
쉽고도 어려운 길.


 
We are always comparing what we are with what we should be. The should-be is a projection of what we think we ought to be. Contradiction exists when there is comparison, not only with something or somebody, but with what you were yesterday, and hence there is conflict between what has been and what is. There is what is only when there is no comparison at all, and to live with what is, is to be peaceful. Then you can give your whole attention without any distraction to what is within yourself-whether it be despair, ugliness, brutality, fear, anxiety, loneliness-and live with it completely; then there is no contradiction and hence no conflict. 
: 도전,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규범적, 연역적 사고를 통한 what should be의 점강적 미래설정, 
탐색적, 귀납적 사고를 통한 what could be의 점진적 미래설정,
그 사이의 Gap을 채우기 위한 노력이다."

라고 배웠고, 여태껏 이야기하고 다녔고, 믿고 있다.

그런데 그는 이 노력을 Conflict로 정의한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실천하려는 노력에서 인생의 의미를 찾는다는 관점과
목표라는 what should be를 설정함으로써 생기게 되는 Conflict 때문에 what is라는 인생의 현재를 잃게 된다는 관점
상당히 혼란스러운 한 방이다.

딱딱해진 생각을 다시 주물럭거릴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우선 감사하고,
천천히 양쪽을 다 음미해봐야겠다.


 
VIII. Freedom
 
When we talk of freedom are we talking of complete freedom or of freedom from some inconvenient or unpleasant or undesirable thing? We would like to be free from painful and ugly memories and unhappy experiences but keep our pleasurable, satisfying ideologies, formulas and relationships. But to keep the one without the other is impossible, for, as we have seen, pleasure is inseparable from pain.
: 진정한 자유는 '~로부터의 탈출'이 아니다.
억압, 규제, 속박 혹은 석방, 방임, 해방은
자유라는 개념의 하위 개체들일 뿐이다.

세상 그 무엇도 반대되는 대상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즉,
자유라는 것은
이러한 하위 개념들이 섞여서 반복되는 가운데
특정 시점에 특정 방향으로 가고자 하는 욕망이 작용하는 동적인 마음의 상태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다.

 


Freedom is a state of mind-not freedom from something but a sense of freedom, a freedom to doubt and question everything and therefore so intense, active and vigorous that it throws away every form of dependence, slavery, conformity and acceptance. Such freedom implies being completely alone. But can the mind brought up in a culture so dependent on environment and its own tendencies ever find that freedom which is complete solitude and in which there is no leadership, no tradition and no authority?
: 깊은 고민에 빠지게 만들었고, 아직도 적절한 나만의 해석을 달지 못했던 주제인데, 정곡을 찔렸다.
사람은 일생동안 관심을 가지게 되는 모든 주제에 대해
개인적인 느낌을 가지게 되고, 결국 인생관이라고 할 수 있는 본인만의 철학을 쌓게 된다.
그 과정이 바로 인생이며 '삶을 사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자기 자신 이외에 인생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들은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그 어디에서도 매 순간 개인의 해석을 통해 의미를 찾을 수 있다면, 우리 인생의 다음 방향을 정할 수 있는 사람은 나 말고도 또 있을 수 있는가?
쉽게 말해, 모든 것이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라면, 어디서 마음먹을지는 아무나 결정해도 되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면 리더쉽, 전통, 권위는 불필요한 것인가?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isolation, cutting oneself off, and aloneness, solitude. ... You are never alone because you are full of all the memories, all the conditioning, all the mutterings of yesterday; your mind is never clear of all the rubbish it has accumulated. To be alone you must die to the past. ... In this solitude you will begin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living with yourself as you are, not as you think you should be or as you have been. ... just live with yourself as you actually are.
: 그는 이러한 간섭을 규정하기 위해 Solitude(Aloneness)와 Isolation(Cutting off)을 다르게 정의한다.
전자는 '내재적, 인식적' 간섭을 말하고,
후자는 '외재적, 물리적' 간섭을 의미한다.
사실 후자 역시 전자의 연장선에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요는
누누이 강조했듯이
후자가 아닌 전자를 통한 의식과의 단절만이 진정한 자유를 가져다준다는 것이다.

즉,
누구를 만나서 그가 나에게 어떤 영향을 주든
그 영향이 의식의 단절에서 온 살아있는 현재의 것이라면
내 의식의 단절을 통한 자유로운 인식에 가치 있는 자극이 된다.

여기서 드는 두 가지 의문점

1.
그렇다면 시간의 흐름을 수직적으로 놓았을 때,
자유를 향한 우리의 사고는 위, 아래에 있는 what I should be와 what I have been으로 부터는 독립되어야 하지만
수평적인 동등한(Solitude, Aloneness) 사고와는 교류해도 되는 것인지?
아니 어쩌면 현재를 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나를 포함한 몇몇 사람들에게 힌트가 될 수 있을 것인지?

2.
우리는 Solitude, Aloneness한 리더를 만나고 있는지?



Can you become conscious of that freedom? If you say, 'I am free,' then you are not free. It is like a man saying, 'I am happy.' The moment he says, 'I am happy' he is living in a memory of something that has gone. Freedom can only come about naturally, not through wishing, wanting, longing. Nor will you find it by creating an image of what you think it is. To come upon it the mind has to learn to look at life, which is a vast movement, without the bondage of time, for freedom lies beyond the field of consciousness.




IX. Death
 
 To find out actually what takes place when you die you must die. This isn't a joke. You must die-not physically but psychologically, inwardly, die to the things you have cherished and to the things you are bitter about. If you have died to one of your pleasures, the smallest or the greatest, naturally, without any enforcement or argument, then you will know what it means to die. To die is to have a mind that is completely empty of itself, empty of its daily longings, pleasures and agonies. Death is a renewal, a mutation, in which thought does not function at all because thought is old. When there is death there is something totally new. Freedom from the known is death, and then you are living.
: 매일 눈을 감을 때, 죽는 것 처럼 모두 잊어버리고,
매일 눈을 떳을 때, 태어난 것 처럼 늘 새롭게 행동한다면,
다시 눈을 뜨는 것에 대한 기대나,
다시 눈을 떳다는 것에 대한 안도없이,
삶과 죽음 역시 반복되는 진리의 하위 개념임을 인식하게 되고,
자유를 얻게 될 것이다.

단지
훗날, 나의 마지막 날, 눈을 감게되면,
그 인식의 주체가 내 자신에서 자연계를 바라볼 수 있는 제 3자로 바뀐다는 점.

다시 풀어보면
 죽음이 두려운 이유는 미지에서 오는 불확실성 때문이다.
오늘 아침처럼 내일 아침도 눈을 떠야 할 텐데 그렇지 않을 것 같기 때문이다.
오늘까지 내가 누렸던 즐거움들이 반복되지 않을 것 같기 때문이다.
오늘까지 나와 인연을 맺었던 사람들을 더 이상 만나지 못 할 것 같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거경험의 기억들과 작별하는 것이 바로 '죽음'이다.

그는 이 죽음을 인생단위로 보기 때문에 죽음이 두려운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위에 언급했듯 하루단위로 본다면 매일이 어제와의 죽음이고, 새로운 삶이된다.
나아가 매 순간이 과거와의 죽음이 되고, 이를 통한 신선한 삶이 된다면 그것은 그가 주장해 왔던 진리, 자유의 틀 안에 딱 맞는
자연스러운 원리가 되어버린다.

이즈음에서 이 책의 제목 Freedom from the known의 의미가 점차 명확해진다.
'앎(과거의 생각)으로부터의 자유'라기보다는
'앎에서 분리된, 해방된 상태에서만 가능한 자유'를 그는 말하고자 한 것 같다.
 



  X. Love
 
When you lose someone you love you shed tears-are your tears for yourself or for the one who is dead?
Are you crying for yourself or for another? Have you ever cried for another?
Have you ever cried for your son who is killed on the battlefield?
You have cried, but do those tears come out of self-pity or have you cried because a human being has been killed?
If you cry out of self-pity your tears have no meaning because you are concerned about yourself.
...
You can see in a moment the whole structure and nature of this shoddy little thing called 'me,' my tears, my family, my nation, my belief, my religion-all that ugliness, it is all inside you. When you see it with your heart, not with your mind, when you see it from the very bottom of your heart, then you have the key that will end sorrow.
...
It seems to me that one thing is absolutely necessary and that is passion without motive-passion that is not the result of some commitment or attachment, passion that is not lust.
: 사랑을 시작할 때에는 기억력이 흐려진다.
매일 그 사람을 만나는 것이 새롭다.
어제 그 사람의 어떤모습이 어땠 더라, 내일은 무엇을 해야 할 텐데 라는 생각 할 겨를도 없이,
그 사람을 만나고 느끼는 현재 순간에 집중하게 되고 충분한 황홀감을 느낀다.

그러다 점차 기억력과 생각이 또렸해진다.

그 사람의 흠이 기억에 남아 자주 떠오르고, 함께 할 미래에 대한 걱정이 고개를 든다.
전형적인 what has been, what should be와 what is의 conflict이다.
여기서부터는 사랑이 아니라고 그는 정의한다.

사랑이 소중한 이유는
현재를 정의하는 사고를 잠시나마 경험하게 해주는 몇 안 되는 우리의 원초적 감정이기 때문이다.


 
   XI. Image
 
When I say I know you, I mean I knew you yesterday. I do not know you actually now. All I know is my image of you. That image is put together by what you have said in praise of me or to insult me, what you have done to me-it is put together by all the memories I have of you-and your image of me is put together in the same way, and it is those images which have relationship and which prevent us from really communing with each other.
... what is said in words is not the fact.
: 역설적이지만 그의 철학을 글로, 그것도 그의 모국어가 아닌 번역된 영어로 받아들인다는 것이 참 아쉽다.
그가 현재를 해석하는 자세를 직접 볼 수 있었거나,
그와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더라면,
지금 나의 현재를 대하는 자세에 큰 도움이 되었을 텐데 말이다.
 



  XII. The Observer and the Observed
 
 To identify ourselves with something is fairly easy. Most of us identify ourselves with something-with our family, our husband or wife, our nation-and that leads to great misery and great wars. We are considering something entirely different and we must understand it not verbally but in our core, right at the root of our being.
: 나는 누구인가?
~에서 ~일을 하는 ~직급의 누구 말고,
~의 아들 ~의 친구 ~의 애인 말고,
'소속'이 아닌 '나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는가?

 (설명 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면 절대 이 질문에 억압받지 말자.)
(설명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면 고민해보자.)
(내가 이럴 줄이야!)

나의 역할에서 벗어나 나를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초등학교 입학 전 외웠던 국민교육 헌장의 영향인지
내 존재를 국가관을 기반으로 한 시대정신에 맡겨왔던 것 같다.

어제 어릴 적 미국으로 이민을 와 미국 시민권을 갖게 된 친구와 저녁을 같이했다.
낯선 땅에서 남보다 일찍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 친구는 나와 다른 흥미로운 생각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 중 솔깃했던 것 하나가 '국가'라는 개념에 대한 이야기였다.

조상이 없었다면 내가 없었겠지만,
조상이 만들고 지켜온 국가가 없었다고 내가 없었다면
이는 국가라는 소속을 통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셈이 된다.

다시 풀면

개국공신, 순국선열들이 없었다면 나는 태어나지 못했을 수도 있다.
vs
영토를 확장했던 위대한 선조들은 타국사람들을 태어나지 못하게 했을 수도 있다.

가족, 국가, 인종, 종교 등등
능동적, 수동적 폭력을 낳는 이러한 소속감은 나의 정체성을 정의해버리는 위험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

그가 나의 존재(being)를 질문한 의도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소속감을 기반으로 하는 의미 있는 역할에 내 인생관을 의지했던 관념을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XIII. Thought
 
 So it is only when you are completely quiet, right through your being, having put that question, 'What is the beginning of thought?,' that you will begin to see, out of that silence, how thought takes shape.
: 어쩌면 과거의 생각에 사로잡히지 않는 것 보다
현재의 신선한 느낌이 생각으로 굳어지는 과정을 차분히 지켜보는 것이 우선이지 않을까?

이 과정을 즐기는 것이 현재를 정의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나에게 다가온 자극에 대해
왜 그런 느낌이 오는지, 왜 그런 입장이 생기는지, 그 일부만 기억하려 하지는 않은지,
최대한 가늘게 잘라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자.


 
XIV. Silence
 
This is like giving a child an interesting toy; he becomes very quiet, but remove the toy and he returns to his mischief-making. We all have our toys which absorb us and we think we are very quiet but if a man is dedicated to a certain form of activity, scientific, literary or whatever it is, the toy merely absorbs him and he is not really quiet at all.
: 지난 방학 때, 이런 류의 사색을 좋아하는 형과 한탄하며 나눴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사람은 생각이 깊어질수록 고집이 약해지고, 다양한 의견에 대해 유연해진다.
 또한
무언가 자꾸 근원적인 원리를 탐색하는 데 시간을 보내게 된다.
단순히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려하기 보다는, 그 문제가 가지고 있는 의미, 내 인생과의 인연 등등을 말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우리같은 비생산적인(?) 사람들보다 이런 류의 생각에 관심 없는 사람들이 더 잘 먹고 잘사는 게 너무나 자주 눈에 띈다는 것이다.

언론매체는 말 할 것도 없이, 주위에도 인생목적이 '돈 버는 것 뿐'인 사람들이 너무 많다.
몇 년 후 까지 얼마를 버는 것이 목표라길래, 물어봤다. 그러고 나면?
"더 벌꺼야, 궤도에 오르면 좀 더 수월해지겠지, 후후,," 란다.
내 꾸밈없는 표정에 놀랐는지
"언젠간 불쌍한 사람들 돕는 일 하고는 싶어"라고 덧붙인다.
뒤돌아서 "딱하다!" 라고 욕하지만
나도 인간인지라 그들의 화려해지는 모습에 질투가 나기도 한다.

어차피 고민해봐야 나만이 해석해야 할 나만의 인생,
단순하게 욕망에 이끌려
실컷 벌다, 실컷 즐기다, 언젠가 어랏? 하고 '뿅' 가버리는 게
늘 고민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이상향을 꿈꾸다 가버리는 것 보다
과연 얼마나 못한 것인가란 투정 아닌 투정을 한 적이 있다.

뼛속까지 우리 편인 Krishnamurti는 이 대목에서 강조한다.

철학(quiet, silence)없이 사는 인생은 장난감을 가진 아이와 같다고,
장난감을 가지고 유희를 즐길 수는 있지만, 그 몰입은 장난감을 빼앗기기 전 까지라는 것.
여기서 장난감은 단순한 유희도구 뿐만 아니라
사회구조가 우리에게 지워준 모든 일거리를 포함한다.

"바빠서 그런 것 생각할 여유 없어," "나에겐 사치야," "배부른 고민하고 있네(자빠졌네)."

우리는 단지
당신이 몰입하고 있는 그것이 자신을 위한 것 보다는 해야만 하는 것일 때
언젠가 맞이하게 될 '어랏?'이라는 순간에 따를 절망을 걱정 할 뿐입니다.

물론, 장난감 참 부럽긴 해요.



...the freedom from the known can come into being only when there is a dying every day to the known, to the hurts, the flatteries, to all the images you have made, to all your experiences-dying every day so that the brain cells themselves become fresh, young, innocent.
: 이 책, 아니 Krishnamurti 전체 철학의 에센스를 나타내는 구절이다.
 



XV. Meditation
 
Meditation is a state of mind which looks at everything with complete attention, totally, not just part of it. And no one can teach you how to be attentive. If any system teaches you how to be attentive, then you are attentive to the system and that is not attention. Meditation is one of the greatest art in life-perhaps the greatest, and one cannot possibly learn it from anybody, that is the beauty of it.
: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집중할 수 있는 본인만의 노하우를 터득해야 한다.
특정 과업을 수행하는 것과 달리,
quiet, silence에 다가가는 데에는 그 누구의 조언도 필요하지 않다.
만약 집중을 위한 조언을 얻었다면
그 조언에 집중이 될 뿐 자신과 소통하는 데에는 실패하게 될 것이다.

쌓아온 구조 내에서 문제를 떠올리고 해결하는 것
(문제와 해답을 공유하며 발전시키는 구조)
(배워야 해결 할 수 있는 것)
(Craftsmanship) 

vs
개개인의 해석을 담는 것
(남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주제들에 관해 주어진 일생동안 하게 되는 각자의 고찰)
(배우면 접근조차 할 수 없는 것)
(Philosophy, philosophical thinking)

근원적으로는
목표와 수단이 분리된 우리의 슬픈 오늘




XVI. Energy
 
After all, any movement which is worth while, any action which has any deep significance, must begin with each one of us. I must change first; I must see what is the nature and structure of my relationship with the world-and in the very seeing is the doing; therefore I, as a human being living in the world, bring about a different quality, and that quality, it seems to me, is the quality of the religious mind.
: 가치있는 것, 의미있는 것, 자연(스러움), 세상과 나의 관계(인연)를 내 시각으로 해석하는 것
이것이 바로 일반화 될 수 없는, 되어서는 안 되는
나의(각자의) 종교관이다.